728x90 반응형 교육 입시(동아시아사 자료실)13 외규장각 약탈문화재 외규장각1782년 정조는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외규장각을 세웠다. 외규장각은 1776년 창덕궁에 설립된 규장각의 분소와 같은 성격을 띠게 되었고 병인양요로 불타 없어지기 전까지 1,007종 5,067책이 소장돼 있었다고 한다. 고종이 집권한 당시 조선의 상황은 러시아가 남하정책을 펼치며 함경도 경흥부에 와서 통상하기를 요구하였다. 당시 대원군 이하 정부요인들의 놀람과 당황은 대단하였으나 이에 대한 대책은 속수무책이었다. 이때 조선에 와 있던 몇몇 가톨릭교도들이 대원군에게 건의하기를 한·불·영 3국동맹을 체결하게 되면 나폴레옹 3세의 위력으로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막을 수 있다 하여, 대원군은 프랑스를 이용해 러시아에 대응하려 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그 시기를 놓치고 말았다.프랑스 군의.. 2024. 11. 1. 광해군과 중립외교 광해군의 중립외교 시행배경과 시행임진왜란 직후, 조선은 초토화 되었고, 명나라는 조선에 대한 무리한 군사파병으로 명나라는 경제적 군사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북방에선 누르하치 가 오랑캐 라고 낮추어 부르던 여진족을 통일시키고 후금이라는 나라를 세워 명의 변방을 위협하였다.곧이어 후금이 명에게 선전포고를 했고, 명나라는 조선에 의리를 강조하며 군사를 요청했다. 조선에선 남인과 서인들이 광해군의 반대편에서서 우리가 명에 사대국가라는 것을 기억해야한다. 임진왜란을 우리가 이겨냈을 수 있었던 이유가 모두 명나라 덕분이다. 명이 있어야 우리도 있을 수 있다. 라고 주장하며 명에 군사를 보낼 것을 주장했다. 조선의 광해군은 명나라에 대한 요청을 거절할 수 없었지만, 이에 명나라 편을 들게 되면, 조선에도 피해가 .. 2024. 11. 1. 역사 속 두 얼굴, 언론 촛불의 힘을 일으킨 언론지금까지 본 보고서를 통해 언론이 기득권 세력에게 이용되고, 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만을 탐구해왔는데, 사실 언론은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방향으로 이용되어 오기도 했다. 예를 들자면, 2016년부터 2017년 동안 있었던 사상 최대의 집회 규모를 자랑하는 촛불 혁명 당시의 언론이 있겠다. 이는 2016년 10월 24일 저녁 JTBC 언론사가 최순실의 국정개입에 대한 증거로 태블릿PC를 입수하여 보도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에 계속해서 언론사들은 최순실, 그녀의 딸 정유라 그리고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 등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순실의 국정농단에 대해 앞다투어 보도한다. 단단히 분노한 시민들이 서울 광화문 앞에서 집회를 시작한다. 결국, 집회는 전국적 규모로 번져 100.. 2024. 11. 1. 정조와 정약용의 외교 조선과 청나라의 외교 관계인조반정 이후 후금이 광화군 폐위 문제를 구실로 조선을 침략했고, 협상 끝에 형제 관계를 맺게 된다. 두 나라의 강화 이후 후금 조선은 조공 문제로 갈등을 일으켰고, 결국 후금이 군신 관계를 맺은 뒤 후금을 황제국으로 받들라고 요구했다. 결국 조선은 병자호란에서 패전하면서 패전국으로서 청이 부여한 조공의 의무를 이행하였다. 병자호란 이후 조공을 바치며 해마다 엄청난 양의 물자가 청나라로 넘어가게 되어 조선 경제에 커다란 부담이 되었다. 청나라와 조선은 병자호란과 삼전도의 굴욕을 겪은 후 패전국으로서 강제로 성립된 군신 관계였기 때문에, 조선의 입장에서는 청나라와의 군신 관계는 치욕과 원한의 관계였다. 정조 4년, 이례적으로 청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황제가 칠순을 맞이하게 되었고, .. 2024. 10. 31. 조선 시대 형법 조선 시대 형법조선의 형법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형법 발달과정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며, 조선의 형벌을 탐구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형벌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지함으로써 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든 것은 경찰이 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필수로 요구되는 대한민국의 형법 이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탐구를 통해 진로와 관련된 심화 내용을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의지를 돋우는 데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형식적인 의미의 범죄는 법률상 형벌이 부과된 행위를 말한다. 조선 시대의 범죄개념은 일종의 사회·윤리적 규범 위반을 내용으로 하는 부분이 있어 현대적 의미의 형법과 달리 법과 도덕의 구별이 전제되지 않고 오히려 ‘도덕규범위반설’의 시각도 기초가 되어.. 2024. 10. 29. 식민사학과 한국고대사 근현대시기 인물탐구 활동백남운이 유물론적 사관에 입각해 식민사관의 정체성론 에 대해 반박한 조선봉건사회경제사 을 조사한 후 일제가 강요했던 황국사관, 식민사관에 대해 심도 있게 조사하며 사회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탐구하고자 식민사학과 한국고대사 라는 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일제 강점기 이후 조선은 줄곧 식민주의 역사학을 비판하며 역사학계에서도 이를 해결하고자 수십 년간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21세기 현재에도 식민주의 역사학이 존재하며 진정한 극복을 달성하고자 하는 노력이 공존하고 있다. 역사학자들은 새로운 역사의 주체로서 새로운 사회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여전히 한국에 남아있는 식민사관 추종자들과 그들의 주장을 조사함으로써 과거에 발생해 지속되고 있는 역사적 문제점을 인지.. 2024. 10. 25. 조선 백자 및 백의풍습을 통해 대표되는 한국의 미 백자 달 항아리, 그 속에서의 한국미달 항아리를 눈여겨보면 몸통 한 가운데에 가장 불룩한 부분이 어긋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부분의 비뚤어짐은 어깨 부위 좌우 높이의 차이를 만든다. 이는 달덩어리처럼 완벽히 둥그런 모습보다는 약간 불균형한 모습에 가깝다. 또한 자세히 보면 반구 2개를 이어 붙인 흔적에, 정확한 원을 이루지 않는 자연스러움을 보인다.이는 조선 백자가 자연스러움을 추구했음의 근거가 될 수 있다. 커다란 항아리의 경우 흙으로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만들고, 이 둘을 이어 붙여 접합시킨다. 이 때 접합 부위를 깔끔하게 다듬지 않은 것이 백자 달 항아리의 특징이다. 완벽하고 인위적인 아름다움보다는 불완전하지만 인간적인 자연스러움을 중시했기에 달 항아리는 우리 민족만의 한국미를 지니게 된다.현.. 2024. 10. 18. 한국 복식 문화,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선사시대 및 삼국시대, 통일신라 복식을 중점으로그렇다면 한국의 복식을 제조하기 위한 직물의 시작은 언제부터였을까. 이는 신석기시대라고 칭할 수 있는데, 그 당시의 유적은 이러한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가락바퀴와 베실이 끼어 있는 바늘의 출토와, 직물을 짜는 데 필요한 북의 출토는 당시 직물 제작이 가능했음을 보인다.이러한 배경에서 최초의 부족국가 고조선은 등장한다. 당시 고조선의 유적지에서는 뽕잎무늬로 보이는 형태가 발견되었고 몇 점의 직물 조각을 통해 이미 고조선 때 비단의 재료를 얻기 위해 누에를 키우는 방법을 알고 있었으며 견직물도 생산하였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또한 부여에서는 국내에서는 백의를 숭상하고, 흰색 포로 만든 소매가 큰 포와 바지를 입었지만 국외에서는 중, 수, 금, 계와 같.. 2024. 10. 18. 제주 4·3사건 제주 4.3운동 배경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 해방을 맞이하였지만 이후 한반도 북쪽으로 소련군이 주둔하고, 미국은 소련의 한반도 단독 점령을 막기 위해 소련에 38도선을 기준으로 나누어 점령할 것을 제안했다. 즉, 즉각 독립된 것이 아니라 미·소 군정기 상태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한반도는 38도를 기준으로 북한, 남한으로 나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독립에 핵심 열쇠를 지니고 있던 소련과 미국의 협의가 중요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여러 번의 회의가 결렬되면서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국제 연합에 넘겨버렸다. 1947년 11월 소련이 참석하지 않고 개최된 UN총회에서 인구 비례에 의한 남북한 총선거를 통해 한국에 정부를 수립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선거를 감독하려는 목적으로 유엔 .. 2024. 10. 11. 세계 문화유산 창덕궁 창덕궁의 창건과 세계문화유산 등재태조 이성계는 수도를 한양으로 정하고 경복궁을 창건했지만, 제 2대 정종은 고려의 옛 도성인 개성으로 다시 수도를 옮겼다. 하지만 태종 이방원은 수도를 다시 한양으로 재천도 하였다. 이후 태종이 창덕궁을 창건하여 경복궁과 함께 두 개의 궁궐을 동시에 운영하는 양궐체제가 성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경복궁의 이궁답게 경복궁 다음으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궁궐이며,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했기 때문에 창경궁과 함께 동궐이라고 불렸다. 창덕궁의 창립 이후로도 역대 임금들이 모두 창덕궁을 선호하여 매년 건축 사업이 이어졌다. 조선후기 임진왜란에 의해 소실되자 창덕궁 복구공사는 선조 말에서 광해군 초까지 이루어졌다. 그러나 중건 후 인조반정 때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되고 .. 2024. 10. 4.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