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수험 생활은 선택의 연속이기도 합니다. 지망하는 대학과 학과를 정하는 것, 수시 또는 정시를 택하는 것 모두 선택입니다. 수시 전형을 택한 수험생은 면접이라는 또 하나의 관문을 통과해야 합니다.
저는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대학에 합격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내신성적이 좋은 학생은 교과우수자전형을, 생활기록부(생기부) 내용이 좋은 학생은 학생부종합전형을 지원합니다. 저는 고등학교 특성상 내신성적을 잘 받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고등학교에 입학할 때부터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노려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고등학교에 다니는 동안 교내외에서 열린 여러 대회와 행사, 프로젝트, 학회 등에 참여했고, 덕분에 생기부를 풍부한 내용으로 채울 수 있었습니다.
면접에서는 생기부 내용, 그중에서도 지원한 학과 또는 대학과 관련한 질문을 반드시 받는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학생부종합전형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고등학교 1학년 1학기부터 3학년 2학기까지 열심히 활동하고 노력한 흔적을 그때그때 모으거나 따로 시간을 내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노력의 흔적이란 활동 소감문, 보고서, 논문 등 객관적 기록을 의미합니다.
좋은 활동을 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기억이 희미해집니다. 면접관이 하필 그 활동에 관해 질문하면 제대로 대답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평소 활동 기록을 스크랩해 두고 면접을 앞두고는 차근차근 살펴보며 준비해야 합니다.
면접에서는 피하고 싶은 질문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내신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이라면, 내신성적이 낮은 특별한 이유가 있느냐는 질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질문에 변명 투로 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런 질문을 오히려 기회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대 전자공학과에 지원했다면, 어느 날 우연히 서울대대 OOO 교수님의 000 동영상 강의를 보았습니다.
이를 계기로 전자공학에 관심이 높아져 관련 자료를 찾아보느라 정작 학교 공부에 집중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흥미 있는 분야를 찾을 수 있었고, 그 분야에 지을쌓을 수 있었습니다. 라는 식으로 답하는 것입니다.
'교육.입시(입시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날 필요한 건 내가 제일 잘한다 생각하자 (29) | 2024.11.12 |
---|---|
새 문제집 풀기보다 풀었던 것 복습 (21) | 2024.11.07 |
의대 지원 (13) | 2024.11.05 |
수능 별 거 아니다 (10) | 2024.10.30 |
고등학생도 관심 가져야 할 좋은 인맥 만들기 (9)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