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기술
생명공학기술은 발효 및 육종기술을 바탕으로 포도주, 빵 등을 만드는데 이용되던 전통적 생명공학기술과 유전자 재조합 기술, 세포융합 기술 등을 이용한 현대적 생명공학기술로 구분이 가능하다. 현대적 생명공학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왓슨과 클릭에 의한 DNA의 이중나선구조의 규명에 의해 역사적 기초가 마련되었고 1970년대 후반 유전자 재조합 기술과 세포융합기술의 발달로 기반이 확립되었으며 재조합 단백질의 등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1980년대를 지나면서 성장호르몬, EPO 등 많은 재조합 생물 의약품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였고 이외 식품, 농업분야 뿐만 아니라 환경, 에너지, 해양 등의 영역에서도생명공학기술의 적용이 확대되어 왔다.
1990년 시작된 인간 게놈프로젝트의 영향으로 유전자 정보해석 분야의 경쟁이 치열해졌으며, 최근에는 분석기기 및 컴퓨터, 정보기술의 발달 등으로 대표되는 IT와 BT의 융합으로 생물정보학, 지노믹스, 프로테오믹스, 생물칩등과 같은 새로운 분야가 등장하여 왔다.
생명공학기술은 의약, 화학, 환경, 식품, 에너지, 농업, 해양 등 많은 산업부문의 기반기술로서 21세기 산업발전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다른 첨단 산업을 능가하는 고도성장 부문으로 예상되어, 미국, 일본, 유럽 등 각 국 정부는 이를 21세기 핵심 첨단 부문으로 지정하고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생명 공학기술 발전을 주도하는 미국
현재생명 공학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은 부처 간 종합계획인 Biotechnology for the 21st Century 를 1992년에 수립한 후 연방정부 및 주정부가 집중적으로 이 분야를 지원하고 있으며 유럽도 영국의Genome Valley계획, 독일의 BIO Regio 프로그램 등 각 국가 차원에서의 경쟁적인 지원과 동시에 EU수준의 공동연구를 동시에 진행시키고 있다.
일본 역시 1999년 통산성 등 5개 부처가 공동으로 생물 산업기술 국가전략 등을 수립하여 범국가적 차원에서 생명공학기술 분야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한국도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통해 관련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를 증대시키고 있다. 생명공학 기술관련 시장규모는 1998년 기준 미국이 138억불, 일본이 72억불, 유럽이 50-60억불, 한국이 3.6억불로 추정되고 있다.
생명공학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 이익, 성장가능성, 혹은 전략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생명공학기술에 내포된 윤리성 및 안전성 등을 이유로 생명공학기술을 보다 조심스럽게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어 왔다.
즉 특정생명체가 속하는 고유한 종의 경계를 제거하고 생명체를 정보로 환원시키는 과정에서 생명체의 신성함이 의문시될 수 있다는 비난과 함께 특히 인간의 배아세포 연구나 배아복제와 관련하여 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논쟁이 제기되어 왔다.
또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한 각종 유전자변형 생물체가 생산되고 확산되는 과정에서 이의 인체적 및 생태학적 위험에 대한 다양한 평가와 함께 규제에 대한 요구도 등장하고 있다. 아울러 생명공학기술 및 생물자원의 상업적 이익과 밀접히 관련되는 특허의 허용범위에 대해서도 상반된 입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각 국가들은 한편으로는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투자를 증대시키면서 다른 한편 으로는 생명공학기술혁신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술의 윤리성, 안정성, 특허 등에 관련된 각종 제도를 정비해 나가고 있다.
'교육,입시(자연계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갈 별자리 (62) | 2024.12.23 |
---|---|
밤하늘 별자리의 탄생과 기원 (75) | 2024.12.22 |
슈퍼 태풍의 발생 현상 (53) | 2024.12.22 |
지구 온난화가 가져온 결과 (63) | 2024.12.22 |
집중 호우와 가뭄 (53) | 202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