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입시(자연계열 자료실)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

by kjk쌤 2024. 12. 18.
728x90
반응형

모리셔스 섬

이후 파나마병에 잘 견디는 캐번디시 바나나를 재배하게 되었다. 그러나 변종 파나마병이 유행하게 되면서 캐번디시 는 그로 미셀 과 같은 운명을 맞이하게 될 운명이다. 이는 생물의 다양성이 감소되었을 경우 벌어질 일들을 미리 알려주고 있다.

아프리카의 동쪽에 있는 모리셔 섬은 1505년 최초로 포르투갈 선원에 의해 발견되었다. 발견될 당시 사람이 살지 않은 무인도였다. 도도는 포르투갈어로 바보라는 뜻도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섬에 살던 도도새는 영리하지는 않은 새처럼 느껴진다.

모리셔스 섬이 알려진 이후 배들이 지나다니는 중간 경유지로 활용되면서 도도새는 다음 항해를 준비하는 선원들에게 식량으로 무분별하게 포획되었다.

선원들의 무분별한 포획과 섬에 사람, 원숭이, 쥐 등이 계속 유입되면서 섬의 환경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도도새의 개체 수는 계속 줄게 되었고, 결국 1681년 도도새는 멸절하게 된다. 도도새의 멸절은 인간에 의해 생물 종이 사라진 대표적인 사례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도도새의 멸절과 비슷한 시기에 도도나무 도 번식을 멈추면서 지금은 사라질 위기에 있다. 이유는 도도새 배설물에 의해 도도나무 씨앗의 발아가 가능하기 때문에, 도도새 멸절로 도도나무 씨앗이 발아될 환경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는 생물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도도새의 멸절이 도도나무의 번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생물의 다양성이 감소하면 생물 간 상호작용에 의해 결국은 그 영향이 인간에게도 올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모리셔스섬
모리셔스섬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급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 요인으로 개체 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생물로서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환경부령이 정하는 종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여우, 붉은 박쥐, 수달 등이 멸종위기 야생생물급에 속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51, 멸종 위기 야생생물 195종 등 전체 246종을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하고 이들을 보전하기 위해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환경 문제를 다루기 위해 국제연합이 산하에 창설한 환경 문제 전담기구인 유엔 환경계획이 생물 종의 보호를 위해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면서 생물다양성협약이 국제 사회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다.

환경부 자료에 의하면 지구상의 야생동물은 1300만 종에서 1400만 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인간에게 알려진 것은 약 13%에 불과하다. 이러한 다양성은 경제 개발 및 환경오염 등에 의하여 매년 약 25000~5만 종이 사라져 가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