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
집중호우는 소규모 지역에서 단 기간 동안 엄청난 양의 비가 내리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시간당 30mm 이상 혹은 하루에 80mm 이상의 비, 또는 연강수량의 10%에 상당하는 비가 내릴 때 집중호우라고 정의한다. 지속 시간은 수십 분에서 수 시간 정도로, 반경 10~20km에 해당하는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내린다.
강한 상승기류에 의해 형성되는 적란운에서 집중호우는 발생하게 되고, 천둥·번개 등을 동반하며 산발적으로 비를 내린다. 한국의 경우, 남서풍을 타고 유입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온난 습윤한 공기는 건조한 공기에 부딪히면서 대기가 불안정해져 강한 비구름대를 형성시키고, 그 과정에서 집중 호우가 자주 발생한다.
기상청이 근래 여름철 호우특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장마 기간을 비롯하여 장마가 끝난 후에 집중 호우가 자주 발생하고, 비의 양 역시 크게 늘었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최근 지구 온난화로 중국 북부 내륙지역의 고온 현상이 지속되면서 장마 기간에는 중국 내륙에서 접근하는 따뜻하고 건조한 기류의 영향을 받아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인다.
반면 7월 하순 이후에는 북쪽에서 찬 공기가 남하하여 기층이 불안정해져 국지성 호우 형태의 많은 비가 내리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는 한국의 기후가 장기간에 걸쳐 산발적으로 집중 호우를 내리는 스콜이 발생하는 아열대와 유사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가뭄
가뭄은 비가 보통 때에 비해 오랫동안 오지 않거나 적게 오는 기간이 지속되는 현상이다. 기후학적으로는 연강수량이 기후 값의 75% 이하이면 가뭄, 50% 이하이면 심한 가뭄으로 분류한다. 가뭄의 원인으로는 푄 현상이나 온난건조한 고기압의 오랜 기간 정체, 사막화 등이 꼽히고 있다. 먼저,
온난건조한 고기압의 오랜 기간 정체는 가뭄을 이전보다 크게 불러왔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중국 북부 내륙 지방에는 온난건조한 강한 고기압이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동아시아 지역에 고온 건조한 상태가 지속되었다. 봄철이 되면서 우리나라는 중국 내륙지방에서 다가오는 건조한 성질의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았다.
이 고기압은 남쪽으로부터 수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우리나라에 가뭄을 초래하였다. 즉 우리나라에 수증기를 공급하여 많은 비를 내리게 하는 해양성기단의 접근을 막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의 경우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온실 가스의 배출로 인해 트리플 R이라는 강한 고기압대가 동태평양 북동부에 형성되어 우기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비구름과 폭풍이 미국 남서부를 비켜가게 만들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사막화도 증가하는 가뭄의 원인이다. 사막화는 기상 변화로 수목이 말라죽고 건조한 나대지가 출현하는 현상이다. 사막화의 원인은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 원인으로 나뉜다. 자연적으로는 지구 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대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해양, 하천 등의 증발량이 증가하고 강수량이 증가하게 되면 대기 대순환의 변화가 일어난다.
불규칙적 변화로 인해 적도 지역과 해양에서의 강수량은 증가하고 내륙 지역은 강수량이 감소하여 온난 건조해지면서 사막화가 일어난다. 인위적 원인으로는 인간의 직접적인 활동으로 경작, 벌목, 방화 등으로 사막화를 가속시키게 된다. 사막화가 일어나면 숲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알베도가 증가하여 지표면이 냉각되면서 기온이 낮아진다. 따라서 하강 기류가 발생하여 강수량이 감소하고. 토양의 수분이 적어져 사막화가 가속된다. 악순환인 것이다. 따라서 사막화가 일어난 지역은 거주할 수 없을 정도로 가뭄이 찾아온다. 최근 사막화 현상의 심화로 황사가 더욱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강도도 강해지고 있다. 푄 현상은 가뭄의 원인은 맞으나, 지구 온난화와는 관련성이 낮다.
'교육,입시(자연계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 태풍의 발생 현상 (58) | 2024.12.22 |
---|---|
지구 온난화가 가져온 결과 (70) | 2024.12.22 |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 (56) | 2024.12.21 |
경복궁 단청에서 고흐의 해바라기까지 수놓은 안료 (83) | 2024.12.20 |
비만 치료제와 현대인의 생활 (71)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