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입시(세계 유네스코 자료실)

훈민정음 해례본 세계 기록유산

by kjk쌤 2025. 1. 26.
반응형

1997년 등재

반응형

훈민정음 해례본은 1446(세종 28)에 조선의 제4대 왕 세종대왕이 반포한 한글의 창제 원리와 사용법을 설명한 책입니다. 훈민정음이라는 문자의 창제 목적, 원리, 사용법을 체계적으로 담고 있다.

 

한글 창제의 철학과 과학적 가치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현재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의 창제 배경과 목적

훈민정음의 창제는 세종대왕이 백성들이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글자를 만들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조선에서는 한자를 주로 사용했으나, 한자는 배우기가 어렵고 복잡하여 일반 백성들이 문맹에서 벗어나기 어려웠습니다.

 

이에 세종대왕은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글자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훈민정음 서문에서 세종대왕은 창제 목적을 이렇게 밝히고 있습니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훈민정음), 우리나라 사람들이 말을 하면서도 자기 뜻을 적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이를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쉽게 익혀서 편히 사용하게 하고자 한다.

 

훈민정음 창제는 단순한 문자 발명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백성을 위하는 애민 정신과 독자적 문화 창조의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의 구성

훈민정음 해례본은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와 사용법을 상세히 설명한 주석서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문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배경을 서술한 부분으로, 세종대왕이 직접 작성했습니다. 백성을 위한 애민 정신과 문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예의

훈민정음의 기본 구조와 제자 원리를 설명한 부분입니다. 자음과 모음의 형태와 소리가 자연의 이치에 따라 만들어졌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

 

자음의 창제 원리: 인간의 발음 기관을 본떠 자음 문자를 설계했습니다.

* : 혀뿌리가 목구멍에 닿는 모양

* :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

* : 입 모양을 본뜬 형태

* : 이빨 모양을 상징

* : 목구멍을 본뜸

모음의 창제 원리: , , 인이라는 동양 철학의 삼재 사상을 기반으로 설계했습니다.

* : 하늘

* :

* : 사람

해례

훈민정음 창제의 이론적 근거를 상세히 설명한 부분입니다. 여기서는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와 자음·모음의 결합 원리, 각 글자의 발음 방식 등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음운론적 연구를 통해 훈민정음이 얼마나 과학적으로 설계되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정인지 서문

당시 조선의 학자였던 정인지가 훈민정음의 우수성을 설명하고 찬양한 글입니다. 그는 훈민정음이 세종대왕의 창의성과 백성을 위한 깊은 애정의 결과임을 강조했습니다.

훈민정음의 과학성과 독창성

음운학적 기반

훈민정음은 동양 음운학과 독창적인 발상에 기반을 둔 문자입니다. 자음과 모음이 음운학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어, 각 글자가 발음 기관과 소리를 직접적으로 반영합니다. 특히, 소리의 세기에 따라 기본 자음에 획을 추가하여 변형한 방식은 매우 혁신적입니다.

 

예를 들어:

* ㄱ → ㅋ (숨이 더 많이 나오는 소리)

* ㄷ → ㅌ (발음 세기의 차이)

조합 가능한 문자 체계

훈민정음은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문자를 구성하는 조합형 문자입니다. 이러한 조합형 구조는 적은 수의 기본 문자로 무한한 소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과 실용성을 극대화합니다.

학습의 용이성

훈민정음은 배우고 익히기 쉬운 문자로 설계되었습니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로 시작되는 훈민정음 서문의 언급처럼, 누구나 쉽게 배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훈민정음의 큰 장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