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에게는 꽃가루와 꿀
몸을 얼어붙게 했던 추위가 물러가고 따스한 봄기운이 다가오면서 우리 마음과 행동이 조금 풀린 듯하다. 봄은 사람뿐만 아니라 주변 동식물의 기운을 돋우는 계절이기도 하다. 특히 겨우내 숨죽이고 움츠렸던 꿀벌에게는 꽃가루와 꿀을 찾아 분주히 돌아다녀야 할 계절이다.
이른 아침, 벌통에서 나온 200~300마리의 정찰벌은 빠른 속도로 흩어져 꽃을 찾아다닌다. 원하는 꿀과 꽃가루를 찾은 정찰벌은 신속히 벌통으로 돌아와 주변 동료에게 자기가 가져온 꿀의 향기, 맛, 위치를 알려준다. 그런데 사람처럼 말과 글이라는 정보를 전할 수단이 없는 꿀벌은 어떻게 꽃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일까?
꿀벌을 키우며 꿀벌의 생리를 연구
양봉가와 박물학자들은 수세기 동안 꿀벌이 먹이의 위치를 동료 일벌에게 전달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 방법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꿀벌의 언어를 처음으로 밝혀낸 사람은 오스트리아의 동물학자 카를 폰 프리슈다. 귀족 집안에서 태어난 덕분에 프리슈는 자신의 넓은 농장에서 꿀벌을 키우며 꿀벌의 생리를 연구했다.
프리슈는 특정 벌의 등에 페인트를 칠해 표시한 뒤 그 벌들이 꿀이나 새로운 집터를 발견했을 때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했다.
꿀벌들이 두 가지 형태의 춤을 춘다
원을 그리면서 추는 원형 춤과 8자 모양으로 돌며 추는 8자 춤이 바로 그것이다. 8자 춤은 꼬리를 좌우로 흔들며 직선으로 움직이다가 반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행동을 의미한다. 꿀벌이 추는 8자 춤에는 벌통과 목적지, 태양 위치 등의 정보가 담겨 있다.
덕분에 다른 일벌은 춤을 따라 추며 먹이의 종류와 방향, 거리 등을 정확하게 터득할 수 있다. 날개를 진동시켜 내는 소리도 꿀벌의 또 다른 언어다. 사람이 들을 수 없는 280㎐ 정도의 날갯소리는 다른 일벌들을 불러 모으는 신호다. 1㎐는 1초에 1번 왕복 운동했다는 의미다.
프리슈는 이 외에도 꿀벌이 사람과 비슷한 후각을 지니고 있으며, 꿀벌의 미각이 단맛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꿀벌이 가장 좋아하는 색은 꿀을 담고 있는 식물과 비슷한 녹색, 청색, 황색 계통이라는 걸 알아냈다. 프리슈의 꿀벌 연구는 동물의 의사소통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혁명을 일으켰고 꿀벌의 복잡한 사회적 행동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는 이 공로를 인정받아 콘라트 로렌츠, 니콜라스 틴베르헌과 함께 197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벌의 춤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면서 꿀벌의 언어에도 방언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앞서 언급한 꿀벌의 엉덩이춤에서 한 번의 움직임이 가리키는 거리가 지역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집트 꿀벌이 엉덩이를 한 번 흔들 때 지시하는 거리는 약 9m고, 이탈리아 꿀벌은 약 18m, 독일 꿀벌은 약 36m라고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토종 꿀벌은 꽃밭의 위치가 집에서 3m 이상 떨어져 있을 때 8자를 그리는 춤을 추고, 양봉으로 키운 벌은 집에서 60m 이상 떨어진 곳에 꽃밭이 있을 때 8자를 그리며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물의 권리를 중요시하고 존중하는 인식
최근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동물의 권리를 중요시하고 존중하는 인식도 함께 커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동물과의 소통을 바라는 욕구도 점점 커지고 있다. 꿀벌의 춤과 같은 동물의 언어에 관한 연구가 더 활발해지고 그 결과가 널리 알려진다면 반려동물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고 우리의 일상은 더욱 풍요로워질 것이다.
'교육,입시(자연계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침과 재채기는 몸이 나가라는 신호 (41) | 2025.01.13 |
---|---|
기후변화 문제 논쟁거리가 될 수 있을까 (89) | 2025.01.10 |
과학적으로 보는 톡톡톡 팝콘의 원리 (32) | 2025.01.10 |
곤충의 장거리 비행 (108) | 2025.01.09 |
고흐 그림 해바라기가 갈색으로 변하는 이유 (47)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