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입시(세계 유네스코 자료실)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세계 기록유산

by kjk쌤 2025. 1. 28.
반응형

2015년 등재

반응형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은 분단된 한반도에서 발생한 이산가족의 아픔과 재회를 염원하며 진행된 1983MBC의 특별 생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기록물을 말합니다.

 

이 기록물은 전쟁과 분단의 비극을 증언하는 동시에, 인간애와 희망을 담은 중요한 역사적, 문화적 유산으로 평가받습니다. 2015,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며 그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배경

1950년 발발한 한국전쟁은 한반도를 분단으로 이끌었고, 수많은 가족들이 전쟁의 혼란 속에서 헤어지게 되었습니다. 휴전 이후 남북 간의 교류는 사실상 단절되었고, 이산가족들은 서로의 생사조차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1980년대 초반, 전쟁 이후 30여 년이 지나며 이산가족들은 점점 고령화되었고, 가족을 다시 만날 기회는 점차 줄어들고 있었습니다.

 

1983, MBC는 이러한 이산가족의 아픔을 알리고 가족 재회를 돕기 위해 특별 생방송 프로그램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를 기획했습니다. 이 방송은 단순한 프로그램을 넘어, 분단의 아픔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전 국민의 관심을 모은 역사적 사건이 되었습니다.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내용과 전개

1983630, 서울 여의도 광장에서 시작된 특별 생방송은 처음에는 며칠간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이산가족들의 폭발적인 참여로 138일 동안 이어졌습니다. 이 기간 동안 약 10만여 명이 가족을 찾기 위해 신청했고, 53,000여 명의 사연이 방송되었습니다. 방송을 통해 약 10,000여 가족이 재회하는 감동적인 순간이 연출되기도 했습니다.

방송 방식

* 사연 접수: 방송국은 이산가족들의 사연을 접수받고 이를 정리하여 방송을 통해 소개했습니다.

* 현장 인터뷰: 이산가족들이 직접 등장하여 자신의 가족과 이별한 사연, 이름, 고향 등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며 가족을 찾았습니다.

* 시청자 참여: 방송을 시청하던 국민들이 관련 정보를 제보하며 가족 재회를 돕기도 했습니다.

국민적 관심과 감동

* 방송 당시, 전국의 이산가족들은 물론 일반 국민들까지 텔레비전과 라디오 앞에 모여 가족 재회의 순간을 함께 지켜보았습니다.

* 방송을 통해 분단의 아픔과 가족 상봉의 기쁨이 실시간으로 전달되었고, 이는 전 국민적인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의 구성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와 관련된 기록물은 프로그램 제작과 진행, 이산가족들의 사연 등을 담고 있는 방대한 자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산가족 신청서

가족을 찾기 위해 방송국에 제출된 53,000여 건의 신청서로, 가족의 이름, 고향, 헤어진 사연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영상 및 녹음 자료

138일간 진행된 생방송의 영상과 녹음 자료가 포함됩니다. 이는 가족 재회의 순간과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를 생생하게 담고 있습니다.

사진 및 문서 자료

방송 중 촬영된 사진과 관련 문서, 프로그램 기획 및 제작 과정에서 생성된 각종 기록물.

재회 기록

방송을 통해 실제로 재회한 이산가족들의 명단과 그 과정에 대한 기록.

기록물의 역사적 의의

분단의 아픔을 증언

이 기록물은 한반도의 분단이 가져온 비극과 이산가족들의 고통을 생생히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분단의 상처를 치유하고 평화와 통일의 중요성을 되새길 수 있습니다.

감동적 인간애와 연대

방송은 단순히 가족 재회를 넘어, 국민 전체가 이산가족들의 아픔을 공감하고 연대하며 희망을 나누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기록문화의 발전

138일간 이어진 생방송 기록물은 당시의 기술과 방송 문화의 발전상을 보여줍니다. 이는 전쟁과 분단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미디어의 역할과 가능성을 증명한 사례로 평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