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성장과정이 작품에 미친 영향
윤동주 1917∼1945. 시인. 본관은 파평이며, 북간도 명동촌에서 출생하였다. 기독교 장로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다. 아우 일주와 당숙 영춘도 시인이다. 1931년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대랍자 중국인 관립학교를 거쳐 이듬해 가족이 용정으로 이사하자 용정 은진중학교에 입학하였다.
1941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였다. 이듬해 일본으로 건너가 릿쿄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고, 같은 해 가을에 도시샤대학 영문과에 전학하였다. 1943년 7월 귀향 직전에 항일운동의 혐의를 받고 일경에 검거되어 2년형을 선고받고 광복을 앞둔 1945년 2월 28세의 젊은 나이로 일본의 후쿠오카형무소에서 생을 마쳤다.
윤동주시의 가치와 교훈
윤동주는 20세를 전후하여 근 10년간에 전개된 그의 체험과 더불어 그의 시 역시 여러 가지 면에서 급격한 변화 및 갈등을 보인다. 초기시의 암울한 분위기, 동시에 깃든 유년적 평화에의 지향, 다시 강화. 확장되는 방황과 어두운 세계상, 자아의 분열과 긴장 등이다. 이렇게 서로 인과하고 혹은 반발하는 주제의 흐름을 우리는 보았다.
이러한 시적 편력의 배후에는 두 가지 중요한 체험적 원천이 자리 잡고 있다. 그 하나는 청년기의 정신적 불안정성과 고독감 및 정신적 방황에 기인한 개인적 어둠이고, 다른 하나는 조국을 잃음으로써 역사적, 사회적 삶의 자리를 박탈당한 집단적 어둠이다.
이 두 어둠이 윤동주라는 하나의 정신 속에 결합하는 데서 그의 참모습이 드러난다. 그의 시의 가치는 시대의 고뇌와 개인적 번민이 통일된 육체로 느끼고 표현했다는 점이다. 곧, 그는 자신의 개인적 체험을 역사적 국면의 경험으로 확장함으로써 한 시대의 삶과 의식을 노래하였고, 동시에 그의 체험을 인간의 항구적 문제들과 연결함으로써 보편적인 공감에 도달 하였다.
윤동주 시에 나타난 사회 문화적 환경
1917년 12월 30일 만주국 간도성 화룡현 명동촌에서 본관이 파평인 부친 윤영석과, 독립운동가, 교육가인 규암 김약연 선생의 누이 김용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윤동주가 태어난 명동촌은 외삼촌 김약연 선생이 일찍이 이 지방에 이주해 들어와 개척한 지역으로 교육과 종교, 독립운동이 다른 어느 곳 보다 활발했던 곳이다.
1910년에는 조부 윤하현이 기독교 장로교에 입교, 윤동주가 태어날 무렵에는 장로직을 맡게 되는데, 윤동주는 태어나자 유아 세례를 받는다. 윤동주는 본명이며 어릴 때 불리던 이름은 해환이다. 1929년 송몽규 등의 급우와 함께 벽보 비슷한 세명동 이라는 등사판 문예지를 간행. 이 무렵 썼던 동요, 동시 등의 작품을 발표 한다.
1941년 연희전문 문과에서 발행한 문우지에 자화상, 새로운 길 을 발표. 12월 27일, 연희전문 문과를 졸업. 19편으로 된 자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를 졸업 기념으로 출간하려 했으나 미간. 이 무렵 윤동주의 집에서는 일제의 탄압에 못이기고, 또한 윤동주의 도일을 위해 성씨를 히라누마로 창씨 개명하였다.
1942년 도쿄 릿쿄 대학 영문과에 입학. 가을 에는 교토 도시샤 대학 영문과에 편입하였다. 첫학기를 마치고 귀향길에 오르기 직전 교토대학에 재학중인 송몽규와 사상범으로 체포되어 교토 키모가와 경찰서에 구금되었다.
'교육, 입시(인문계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에 휘둘리는 환율 외환위기 악몽 깨우나 (53) | 2025.01.13 |
---|---|
국민연금 수급자 700만 명 돌파 (43) | 2025.01.13 |
서정주 작가와 작품세계 (35) | 2025.01.12 |
정지용 작가와 작품세계 (50) | 2025.01.12 |
양자 진공과 빛의 이중성 (67) | 2024.12.27 |